11월, 2019의 게시물 표시

작법... 명언으로 배우는 작법.

나는 수많은 시나리오들을 읽으면서 느낀 것이다. 재미있고 잘 쓰여진 작품인데도 망하는 것을 보곤 했다. 반대로 그리 좋은 작품이 아닌데도 흥행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그처럼 관객이란 좀처럼 감 잡을 수 없는 럭비공과 같은 존재다. -하늘나비 *"나는 아웃라인을 정해놓고 쓴다. 무엇보다도 먼저 지금 내가 어디로 가고 있는 중인지는 알아야 하니까. 내가 말하려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누구를 통해서 말해야 하나? 이 스토리는 무엇에 관한 것인가? 이 스토리의 갈등은 뭣인가? 해결은 어떻게 될 것인가?" - 월터 번스틴 -시작은 누구나 쉽사리 할 수 있다. 그러나 끝을 내기란 너무나도 힘들다. 내가 시나리오나 소설을 쓸 때 사용하는 방법 중에 하나인 것 같다. 일단 시작과 끝을 먼저 쓴다. 그리고 중간 도입은 그냥 그 캐릭터들의 움직임과 대사 모든 것을 내 머릿속에서 움직이게 놓아든다. 그러면서 나는 그 내용을 그대로 복사해 낸다. 이렇게 쓰게 되면 절대로 끝을 내지 못하는 글이 없다. 위에서 얘기하고자 하는 것은 이와 비슷할 것이다. 먼저 계산을 하라는 것일 것이다. 예" 그가 칼에 맞아죽는다. 누구에게? 왜? 갈등은? 등등을 미리 계산을 해야 막힘이 없고 다른 누군가에게 어필을 줄 수 있다. *"나는 신의 리스트를 만든다. 마흔 개일 수도 있고 쉰 개일 수도 있으며 여든 개일 수도 있다. 실제의 신은 아니다. 그저 단순히 어떤 키워드로만 이루어져 있는 리스트이다. 가령 수십 개의 단어만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그 각각의 단어들을 보며 나는 현재 쓰고 있는 스토리를 앞으로 발전시켜나갈 신들에 대하여 끊임없이 상기한다. 이러한 작업 방식은 대단히 중요하다. 시나리...

ja(융합력) 우주 공존법칙=엉뚱한상상

이미지
☠달은 지구 공전을 한다. 즉 지구의 둘레를 돌고 있다. 이때 ja값의 차는 달 지구 태양 순으로 이루어졌다. 지구와 태양이 일대일의 현상이 되면 지구는 태양의 ja에 끌어가게 된다. 또한 달과 지구가 일자일 경우 달이 지구 지표면까지 끌어당기게 된다. 즉 연쇄충돌이 일어나야 한다. 그러나 그럴 가능성은 현재로썬 0에 가깝다. 외행성인 명왕성을 당길 때의 태양ja의 힘, 지구보다 훨씬 큰 목성을 당기는 태양ja의 힘 이 모두 지구보다 훨씬 먼 곳에 존재하는 행성들이다. 이처럼 태양의 값이 똑같다면 지구와 달을 통째로 끌어들일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다행히 태양의 힘은 그런 통일성을 지닌 힘이 아니다. 즉 태양이 힘을 보내면 이때 상대 쪽에서 반응하는 힘을 측정하게 되고, 그 힘에 비례해서 태양ja 힘을 반응한다. ja양면성 혹은 ja상대성 힘이라고 한다. 지구와 달 그리고 태양을 잡고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이렇다. 여기서 행성ja의 힘 기호를 u로 정하고, 지구의 100u라면, 달은 지구보다 여덟 배가 작으므로 20u라고 가정할 때 태양은 지구를 끌어오기 위해 101u에 힘만 쓰게 된다. 달에겐 21u이다. 즉 태양은 ja상대성 반응하여 당기기 때문이다. 지구 역시 달의 반응하고 있다. 태양은 지구를 당기기 위해 101u이라면 옆에서 달의 값이 존재한다. 달이 당기는 값은 20u이다. 즉 공존법칙인 지구의 값은 120u가 된다. 달의 값은 41u가 된다. 정확한 값을 제시할 수는 없다. 즉 제각각 크기가 다르고 거리가 다르기 때문이다. ja행성들의 서로 당기는데서 반응하는 힘이다. 행성(태양)ja는 기본 ...

공전하는 이유는?=엉뚱한 상상.

이미지
지구의 23.27o 첫 번째 가설 충돌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지금의 지구 지표면에서 일어나는 지질현상과 지구의 각도는 어떻게 설명하겠는가? A는 태양에 이끌러 충돌직전까지 모습이다. B에서 23.27o 기울게 된다. 그림처럼 지구는 달을 밀고 태양으로 향하는데서 기울게 된다. 지구는 처음부터 타원형이 아닐 수도 있다. 절대 원에 변칙인 원에서 시작되는 것이 기본이다. 달과 충돌 직전까지 갔을 때 달과 지구 ja2 영향으로 타원형이 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을 수가 없다. 이렇게 극적으로 달과 지구는 멈추게 된다. 사실 지표면이 달의 지표면보다 약하므로 충돌했을 경우 지구는 산산조각이 났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 이유는 지구의 지질활동이다. 다행히 태양의 ja에 의해 충돌직전에서 피하게 되고, 지금의 형태가 만들어졌다. 이때 ja2 충격은 지표면이 약하므로 달과 달리 엄청난 충격을 받았다. 예를 들어 지구는 비눗방울이라고 가정하고 달은 본드로 만든 방울이라고 가정할 때와 같다. 본드로 만든 방울이 비눗방울에다가 가져다 붙이고 살짝 잡아당기게 되면 비눗방울은 원형에서 타원형으로 변한다. 지구의 지표면은 달 지표면보다 강도가 약하다는 점이다. 달과 지구의 ja2 의해 타원형이 만들어졌을 가능성을 전혀 배제하지 않을 수가 없다. 달의 (화산)분화구와 지구의 지질. 용암과 물은 생명에 기초가 완성된다. 이 가설은 해왕성 명왕성 토성 띠에서 작은 힌트를 찾을 수가 있다. ☢지구의 23.27o 2번째 이론 태양의 궤도와 여덟 행성에서 찾을 수가 있다. 각각의 행성들은 하나같이 전부 기우려있다는 점이다. 즉 태양의 ja부터 알아봐야 한다. 태양궤도면...

어뚱한 상상-원심력가 중력가속도

이미지
중력가속도와 원심력 지구와 달, 즉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원심력이 만들어진다고 그림은 설명하고 있다. 이 그림을 아래 그림으로 좀 더 쉽게 설명했다. 지구와 달의 핵 크기가 다르고 질량 크기가 다르다. 즉, 같은 힘이 존재할 수가 없다. 이 때 만류 인력은 두 물체에서 답을 찾으려고 했다. 원심력을 대입하게 된 것이다. 원심력을 대입하지 않을 경우 달과 지구의 힘에 차이를 설명할 수가 없기 때문이며, 태양이 달을 당길 때 달은 원심력x2 태양이 지구를 당길 때 공전 원심력이라고 설명하게 될 것이다. 우주 공간에서 원심력이 존재성이 불확실하며,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면 만류인력의 공식이 틀렸다는 것이 증명하게 된다. ja(융합력) P공간저항(ja 원심력) 원심력은 P공간저항력이다. 즉 한쪽에 P질량의 공간이 작아질 때 P저항을 일으키게 된다. 이때 공간저항으로 물체를 미는 힘을 P공간저항력(원심력)이다. 공간저항은 바로 P가 존재할 때만 일어나는 현상이다. 지구에서 원심력이 일어나는 현상은 P저항운동 이때 ja(핵) 융합의 힘이 P를 끌어당기며 공전 자전을 할 때 만들어진다. 이처럼 만류인력 가속도에서 설명에서 얘기하는 원심력처럼 안에서 밖으로 미는 힘이다. 즉, 극지방은 원심력이 작고, 적도지방은 원심력이 커서 중력가속도 차가 만들어진다고 한다. 이때 극지방이 빠르고, 적도지방이 느린 이유라고 설명한다. 반대 현상이다. ja 원심력은 공기층을 아래로 당기게 되므로 적도 지방의 가속도가 높아야 하고, 극지방이 낮아야 한다. 지구 원심력은 안쪽에서 밖으로 미는 힘으로 설명하고, 달은 안쪽에서 밖으로 미는 힘으로 설명...
이미지
중력은 너무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 그 예로 토성의 띠, 지구가 달을 잡아당기는 힘 등이 대표적인 예다. 당기는 힘을 중력이라고 가정하게 되면 우주 공간에 무중력인 상태는 그리 크지 않다. 행성들은 서로 당기는 힘 즉 융합에 힘을 지니고 있어 물체를 끌어당기기 때문이다. 단지 우리 인간들이 느끼고 볼 때엔 우주 공간엔 힘은 0이라고 착각하고 있을 뿐이다. 우주 공간에서 물체의 반응속도가 너무 작기 때문에 느끼는 현상이다. 중력은 대기권에서 지표면으로 당기는 힘이며, 우주 공간에서 행성들의 힘은 융합을 위한 힘인 ja다. 지구와 달 사이엔 중력이 생길 수가 없으며, 그곳은 무중력인 상태다. 무중력과 중력을 일단 나누는 게 중요하다. 반응속도로 나눠야 할 듯하다. 물체 n을 떨어뜨릴 때에 즉시 반응할 때 중력, 정지 상태로 남아있을 때엔 무중력, 지구와 달 사이 우주 공간에선 서로 당기는 힘이 존재하므로 정지 상태가 된다. 그러나 아주 작은 힘에 물체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너무 작아서 인간들이 느낄 수가 없다는 것이다. 지구와 달 사이 n이 존재할 때 여기서 대기권과 자기권으로 나누고, 이 두 개의 공간에서 중력이 만들어진다. 물체 n이 놓을 때 바로 표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쉽게 알 수가 있고, 무게 측정값이 만들어진다. 그러나 자기권과 대기권 밖에선 무게 값을 측정할 수가 없으며, 물체가 일시 정지 상태로 남게 된다. 좀 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자석으로 실험했다. 자석을 사용한 무중력 테스트 자석 세 개를 그림처럼 놓고 작은 철을 자석 두 개 사이 정 가운데 내려놓는다. 이때 두 개의 자석은 서로 철을 자신에게 당기려는 데서 철은 중간에서 멈추게 된다. 우주...
이미지
공간법칙 m=n, n=R(거리), R에 따라 무게 값이 변함. 1i는 중력가속도가 발생하는 지점이다. 예를 들어 지구 대기에서 n(물체)을 공중에서 떨어뜨리게 되면 바로 반응하는 거리를 뜻한다. 지구 80km라고 가정할 때 달은 2,40km로 예상한다. 이 공간을 1i라고 한다. 달의 1i는 대기권이 존재하지 않고 탄소 같은 물질량도 제로의 가깝다, 지구 물질량이 크기 때문에 대기 공간이 작아지게 되며 이때 무게를 누르는 힘이 더해진다. 지구의 자전공전의 속도 ja5대 마찰, ja P저항력 이 더해지므로 떨어지는 속도와 길이가 길어진다. P 속성에 따라 변하기도 한다. 대기권에 수분이 많으면 많을수록 떨어지는 속도 즉 중력이 높아진다. 2i는 지구1i, 달1i를 뺀 거리를 우주공간 뜻한다. 이때 지구와 달 사이 궤도면을 뜻한다. 즉, 1i-1i를 뺀 공간에선 지구의 질량 달의 질량과 상관없이 같은 값으로 n를 끌어당기게 된다. 이때 n을 끌어당기는 값이 같아지므로 무중력이라고 한다. 대기에서 생기는 원심력과 우주 공간에서 생기는 원심력은 다르다. 상세한 설명은 중력가속도 참고 3i는 태양1i, 지구1i, 달1i 왜 각행성과 1i를 뺀 공간을 뜻한다. 이때 태양은 모든 힘을 조율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기에 태양 외, 행성과 위성 1i를 뺀 공간에서 거리(R)이 남게 되며, R에 따라 n은 반응하게 된다. 대기 공간을 P를 ja는 끌어당긴다. 이 사실은 여름철과 겨울철에 온도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으로 나타난다. 여름철엔 수증기로 대기 상승을 하는 이유이며, 이런 현상으로 바람이 불지 않게 되며, 겨울철엔 태양과 거리가 멀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