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법... 명언으로 배우는 작법.
나는 수많은 시나리오들을 읽으면서 느낀 것이다. 재미있고 잘 쓰여진 작품인데도 망하는 것을 보곤 했다. 반대로 그리 좋은 작품이 아닌데도 흥행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그처럼 관객이란 좀처럼 감 잡을 수 없는 럭비공과 같은 존재다. -하늘나비 *"나는 아웃라인을 정해놓고 쓴다. 무엇보다도 먼저 지금 내가 어디로 가고 있는 중인지는 알아야 하니까. 내가 말하려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누구를 통해서 말해야 하나? 이 스토리는 무엇에 관한 것인가? 이 스토리의 갈등은 뭣인가? 해결은 어떻게 될 것인가?" - 월터 번스틴 -시작은 누구나 쉽사리 할 수 있다. 그러나 끝을 내기란 너무나도 힘들다. 내가 시나리오나 소설을 쓸 때 사용하는 방법 중에 하나인 것 같다. 일단 시작과 끝을 먼저 쓴다. 그리고 중간 도입은 그냥 그 캐릭터들의 움직임과 대사 모든 것을 내 머릿속에서 움직이게 놓아든다. 그러면서 나는 그 내용을 그대로 복사해 낸다. 이렇게 쓰게 되면 절대로 끝을 내지 못하는 글이 없다. 위에서 얘기하고자 하는 것은 이와 비슷할 것이다. 먼저 계산을 하라는 것일 것이다. 예" 그가 칼에 맞아죽는다. 누구에게? 왜? 갈등은? 등등을 미리 계산을 해야 막힘이 없고 다른 누군가에게 어필을 줄 수 있다. *"나는 신의 리스트를 만든다. 마흔 개일 수도 있고 쉰 개일 수도 있으며 여든 개일 수도 있다. 실제의 신은 아니다. 그저 단순히 어떤 키워드로만 이루어져 있는 리스트이다. 가령 수십 개의 단어만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그 각각의 단어들을 보며 나는 현재 쓰고 있는 스토리를 앞으로 발전시켜나갈 신들에 대하여 끊임없이 상기한다. 이러한 작업 방식은 대단히 중요하다. 시나리...
댓글
댓글 쓰기